알고리즘

백준 14503 로봇청소기 - BFS 풀이

woohap 2025. 2. 12. 23:59

문제

로봇 청소기가 주어졌을 때, 청소하는 영역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로봇 청소기가 있는 장소는 N×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1×1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칸은 벽 또는 빈 칸이다. 청소기는 바라보는 방향이 있으며, 이 방향은 동, 서, 남, 북중 하나이다. 지도의 각 칸은 (r, c)로 나타낼 수 있고, r은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 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로봇 청소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1. 현재 위치를 청소한다.
2.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방향부터 차례대로 탐색을 진행한다.
    a. 왼쪽 방향에 아직 청소하지 않은 공간이 존재한다면, 그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한 칸을 전진하고 1번부터 진행한다.
    b. 왼쪽 방향에 청소할 공간이 없다면, 그 방향으로 회전하고 2번으로 돌아간다.
    c. 네 방향 모두 청소가 이미 되어있거나 벽인 경우에는, 바라보는 방향을 유지한 채로 한 칸 후진을 하고 2번으로 돌아간다.
    d. 네 방향 모두 청소가 이미 되어있거나 벽이면서, 뒤쪽 방향이 벽이라 후진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작동을 멈춘다.
로봇 청소기는 이미 청소되어있는 칸을 또 청소하지 않으며, 벽을 통과할 수 없다.

입력

로봇 청소기가 있는 칸의 좌표 (r, c)와 바라보는 방향 d가 주어진다. 이 때 d가 0인 경우에는 북쪽을, 1인 경우에는 동쪽을, 2인 경우에는 남쪽을, 3인 경우에는 서쪽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또한 청소하고자 하는 방의 지도를 2차원 배열로 주어진다.
빈 칸은 0, 벽은 1로 주어진다. 지도의 첫 행, 마지막 행, 첫 열, 마지막 열에 있는 모든 칸은 벽이다.

출력

로봇 청소기가 있는 칸의 상태는 항상 빈 칸이라고 했을 때,
로봇 청소기가 청소하는 칸의 개수를 반환하시오.

내 풀이

1. 이동하자마다 청소하지 않은 구역이라면 청소를 수행한다.
   ** 큐에는 다음 이동할 칸의 좌표와 방향을 넣는다. **

2. 회전한 후(turn_left), 바로 앞 칸이 청소되어 있지 않다면(0) 큐에 (row, col, dis)를 형태로 삽입한다.(이동)

3. 모두 회전하여 확인했음에도 청소할 구역을 찾지 못했다면, 뒤로 이동한다.
   이 때, 뒤가 벽인 경우(1) 청소한 구역 수를 반환하여 함수를 종료한다.
   만약 뒤가 벽이 아닌 경우 뒤로 이동한다. (큐에 삽입)

내 코드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row, col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s_row, s_col, s_dis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graph = []

for _ in range(row) :
    graph.append(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def robot_vacuum_cleaner(row, col, s_row, s_col, s_dis, graph) -> int :

    # 북, 동, 남, 서
    distance = [0, 1, 2, 3]
    turn_left = [3, 0, 1, 2]
    move_forward = [(-1, 0), (0, 1), (1, 0), (0, -1)]
    queue = deque()
    queue.append((s_row, s_col, s_dis))

    clean_count = 0
    while queue :
        c_row, c_col, c_dis = queue.popleft()

        # 청소
        if graph[c_row][c_col] == 0 :
            graph[c_row][c_col] = -1
            clean_count += 1

        dis = c_dis
        for _ in range(4):
            # 회전 
            dis = turn_left[dis]

            # 앞으로 이동 
            n_row, n_col = move_forward[dis]

            d_row = c_row + n_row
            d_col = c_col + n_col

            # 청소가 가능하다면
            if d_row >= 0 and d_col >= 0 and d_row < row and d_col < col and graph[d_row][d_col] == 0 :
                queue.append((d_row, d_col, dis))
                break

        # 플래그 변수를 사용하면 코드 가독성이 떨어질것 같아서 for else 사용 
        else : 
            # 뒤로 이동 
            n_row, n_col = move_forward[c_dis]
            d_row = c_row - n_row
            d_col = c_col - n_col 

            if graph[d_row][d_col] == 1 :
                break

            queue.append((d_row, d_col, c_dis))

    return clean_count

print(robot_vacuum_cleaner(row, col, s_row, s_col, s_dis, graph))

결과

느낀점

중간에 코드 작성이 꼬였다면, 다시 처음부터 흐름을 따라가며 내가 뭐 잘못한 것 없는지 체크해야겠다.
또한 항상 print()를 이용해서 잘 구현했는지 체크할 것 
- move_forward 값이 하나 잘못됐는데 엄한데 틀렸는지 체크하고 있었기 때문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베스트 앨범  (0) 2025.02.11
프로그래머스 주식가격  (0) 2025.02.11
백준 2493  (0) 2025.02.10
백준 1759  (0) 2025.02.07
이코테 part 2 요약  (1) 2024.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