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프로그래머스 베스트 앨범

woohap 2025. 2. 11. 22:16

문제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장르 별로 가장 많이 재생된 노래를 두 개씩 모아 베스트 앨범을 출시하려 합니다. 노래는 고유 번호로 구분하며, 노래를 수록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속한 노래가 많이 재생된 장르를 먼저 수록합니다.
장르 내에서 많이 재생된 노래를 먼저 수록합니다.
장르 내에서 재생 횟수가 같은 노래 중에서는 고유 번호가 낮은 노래를 먼저 수록합니다.
노래의 장르를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genres와 노래별 재생 횟수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 plays가 주어질 때, 베스트 앨범에 들어갈 노래의 고유 번호를 순서대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사항

genres[i]는 고유번호가 i인 노래의 장르입니다.
plays[i]는 고유번호가 i인 노래가 재생된 횟수입니다.
genres와 plays의 길이는 같으며, 이는 1 이상 10,000 이하입니다.
장르 종류는 100개 미만입니다.
장르에 속한 곡이 하나라면, 하나의 곡만 선택합니다.
모든 장르는 재생된 횟수가 다릅니다.

내 풀이

1. 주어진 genres 리스트를 순회하며 장르별 play 총합과 2차원 리스트(해시 테이블)에 장르별 곡 정보를 삽입한다. O(N)
2. 딕셔너리는 정렬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딕셔너리를 리스트로 변환해준다. O(N)
3. 속한 노래가 많이 재생된 장르를 정렬한다. O(NlgN)
4. 2차원 리스트의 장르별 정렬 수행 O(101 * NlgN) 
5. 속한 노래가 많이 재생된 장르를 순회하며 2차원 리스트의 장르별 재생 수의 인덱스를 결과 리스트에 삽입한다. 
   두 개가 넘어가면 break 

내 코드

MX_GENRES = 101

def solution(genres, plays):
    answer = []

    genre_plays_count = {}
    sing_info_table = [[] for _ in range(MX_GENRES)]

    for index in range(len(genres)) : # O(N)
        genre_name = genres[index]
        play_count = plays[index]

        if genre_plays_count.get(genre_name) != None:
            genre_plays_count[genre_name] = genre_plays_count.get(genre_name) + play_count

        else : 
            genre_plays_count[genre_name] = play_count

        hash_index = hash(genre_name) % MX_GENRES
        sing_info_table[hash_index].append((genre_name, index, play_count))

    genre_plays_count_array = []
    # 딕셔너리 -> 배열로 변환 # O(N)
    for genre_name in genre_plays_count.keys() : 
        value = genre_plays_count.get(genre_name)
        genre_plays_count_array.append((genre_name, value))

    # 속한 노래가 많이 재생된 장르 정렬 O(NlgN)
    genre_plays_count_array.sort(key=lambda x : -x[1])

    # 장르별 정렬 수행 O(100 * NlgN)
    for i in range(MX_GENRES) :
        sing_info_table[i].sort(key=lambda x : (-x[2], x[1]))

    # 장르 내에서 많이 재생된 노래를 먼저 수록한다. 최대 2개 
    for genre_name, plays in genre_plays_count_array :
        count = 0

        hash_index = hash(genre_name) % MX_GENRES

        for name, index, play in sing_info_table[hash_index] :
            if count >= 2 :
                break
            answer.append(index)
            count += 1


    return answer

다른 사람 코드

def solution(genres, plays):
    genres_dict = {}
    genres_list = []
    for i in range(len(genres)):
        if genres[i] not in genres_dict:
            genres_dict[genres[i]] = []
        genres_dict[genres[i]].append([i, plays[i]])

    for g in genres_dict:
        genres_dict[g].sort(key=lambda x: x[1], reverse=True)
        genres_list.append([g, sum([play for _, play in genres_dict[g]])])

    genres_list.sort(key=lambda x: x[1], reverse=True)
    answer = []
    for g, _ in genres_list:
        answer.extend([x[0] for x in genres_dict[g][:2]])
    return answer

결과

배운점

딕셔너리를 배열로 변환해주기 보다 딕셔너리의 value 값으로 배열을 넣어서 해결하는 방법도 있구나 !!
-> 코드 수를 줄여주고, 가독성을 높여준다. (다른 사람 코드) 

내장 함수를 사용하면 불필요한 코드를 줄이고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 내장함수는 속도도 빠르므로 코드 가독성 증가 적극적으로 사용할 것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4503 로봇청소기 - BFS 풀이  (0) 2025.02.12
프로그래머스 주식가격  (0) 2025.02.11
백준 2493  (0) 2025.02.10
백준 1759  (0) 2025.02.07
이코테 part 2 요약  (1) 2024.12.19